
글로벌 금융위기로 비수도권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반토막 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인해 수도권과의 경제성장률 격차가 3배 수준으로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특화된 혁신기업의 탄생과 성장, 글로벌 선도기업 유치 등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지역내총생산(GRDP)이 위축되고 인구 유출 등으로 소멸 위기에 빠진 지역을 되살리려면 산업 역동성 강화가 필수라는 것이다.
대한상의 지속성장이니셔티브(이하 SGI)가 23일 발표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산업역동성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요약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수도권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지난 2000~2007년 4.9%에서 2010~2021년 1.9%로 3%p 감소했다.
수도권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5.4%에서 3.4%로 2%p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비수도권 경제성장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더욱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수도권 지역도 금융위기 이후로 경제성장률과 인구증가율이 낮아졌으나 하락 폭은 비수도권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작아 지역 간 불균형 문제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SGI는 “신생기업 중 지난 3년간 매출액이 연평균 20% 이상 늘어난 기업을 뜻하는‘가젤기업’수는 수도권은 지난 10년간 약 400개(2011년 1천586개→2021년 1천986개) 늘어난 반면 비수도권은 2011년 1천179개에서 2021년 1천51개로 오히려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