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사회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독거노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1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가구 중 1가구는 독거노인 가구라는 뜻이다.
노인 가구가 처음으로 전체 가구의 1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고령자 1인 가구는 전체 일반 가구의 9.7%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 결과,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49만7천명으로 전년 대비 45만1천명(5.0%) 증가했다.
고령인구 중 65∼74세가 5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75∼84세는 31.3%, 85세 이상 초고령자는 10.5%를 기록했다.
특히 85세 이상 인구가 전년 대비 7.3%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전체 일반 가구의 30.9%인 681만3천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17.0%를 차지했으며, 독거노인 가구는 전년 대비 8.3% 증가해 213만8천가구를 기록했다.
한편, 1인 가구는 782만9천가구로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해 역대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1인 가구 증가율은 2020년 8.1%에서 지난해 4.4%로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율은 20대 이하가 18.6%로 가장 높았고, 60대와 30대가 각각 17.3%로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30대(21.8%), 여성의 경우 60대(18.6%)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번 통계 결과는 한국 사회의 급격한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현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