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산불 피해 지역에 전폭적 지원 약속

이강덕 시장, "남의 일 아닌 우리의 일"... 범시민 모금 운동 전개 및 유관기관 협력 통한 지원 방안 모색

포항시가 경북 지역 산불 피해를 입은 도시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발 벗고 나섰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3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포항시는 과거 지진과 태풍 '힌남노' 당시 산불 피해 지역으로부터 받은 지원에 힘입어 신속하게 피해를 복구할 수 있었다"며 "이번 산불을 남의 일이 아닌 우리의 일로 여기고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포항시는 이미 전소된 천년 고찰 '고운사'에 지진 성금 1천만 원을 기탁하고, 의성, 영덕에 2천1백만 원, 안동에 1천1백만 원, 청송에 1천6백만 원, 영양에 1천8백만 원을 지원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또, 자원봉사 인력과 살수차 등 장비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시는 산불 피해 지역 복구를 위해 기관, 단체, 시민을 대상으로 범시민 모금 운동을 전개하고, 응급 복구 장비, 급식, 생수, 생필품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포항자원봉사센터와 연계하여 유관 기관 및 단체별 릴레이 봉사활동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31일에는 산불 피해 지역 지원 동참을 위한 유관 기관 및 단체 간담회를 개최하여 산불 피해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지원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방침이다.

 

이 시장은 "이번 산불은 국가적 재난 중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며 "현장을 방문했을 때, 집과 옷을 잃은 이재민들의 참혹한 상황에 눈물을 금할 수 없었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어 "포항시는 산불 피해 도시들의 적극적인 방제 활동 덕분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며 "만약 이들 지자체의 노력이 없었다면 포항시 또한 막대한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감사를 표했다.

 

특히, 이 시장은 "이번 산불로 영덕군과 청송군의 달기약수터 등이 전소되어 지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고 우려하며, "이로 인해 지방 소멸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은 "산불로 무너진 지역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며 "헌법에 명시된 대로, 자연재해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구호 활동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 "산불 피해 지역에서 헌신적으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지역 봉사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포항시는 과거 지진과 태풍 피해 당시 받은 도움을 잊지 않고, 산불 피해 도시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이 시장은 정치적 이슈에 매몰되지 말고 산불 피해 지역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국가적 재난을 겪은 경북 지역 산불 피해 지역이 정치적 논쟁 속에 잊혀져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로 인해 사망 26명, 부상 4명, 실종 29명(총 59명)의 인명 피해와 주택 3,365채, 농업 시설 2,110개소, 기타 591개소 등 총 6,091개소의 시설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천년 고찰 '고운사' 전소는 역사적 가치 훼손이라는 안타까운 결과를 낳았다. 지역별로는 영덕군(2,812개소), 의성군(498개소), 영양군(127개소) 등 인근 지역의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