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천왕봉서 독립 의지 담긴 392자 석각 발견

일제강점기 문인이 새긴 392자... "나라 잃은 유민" 비분강개 표현

지리산 천왕봉 인근에서 일제강점기 독립 의지를 담은 대규모 석각이 발견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13일 천왕봉 바로 아래 바위에서 392자에 달하는 석각(石刻·바위글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립공원 내에서 확인된 근대 이전 석각 중 가장 많은 글자 수를 자랑하며, 해발고도 1,900m대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이 석각은 2021년 9월 권상순 의병장의 후손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작년 11월 국립공원공단에 조사가 의뢰됐다.

 

공단이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실시한 기초조사 결과, 석각의 규모는 폭 4.2m, 높이 1.9m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최석기 부원장과 한학자 이창호 선생의 판독에 따르면, 이 석각은 1924년 문인 묵희가 글을 짓고 권륜이 글씨를 쓴 것으로 확인됐다.

 

묵희는 글의 말미에 자신을 '나라 잃은 유민'이라고 표현하며 당시의 비통한 심정을 드러냈다.

 

최 부원장은 "이 석각은 공자의 춘추에 나오는 '대일통' 개념을 주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천왕봉의 위엄을 빌려 일제를 물리치고 밝은 세상이 오기를 갈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석각은 동아시아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를 간략히 언급하며, 일제강점기 역시 반드시 끝날 것이라는 희망을 표현하고 있어 주목된다.

 

최 부원장은 "이 석각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비분강개한 어조로 토로한 것"이라며 "구한말 유학자들이 천왕봉을 천왕으로 여기며 '성인이 다스리는 문명국'이라는 자존의식을 잃지 않으려 했던 것이 확인된다"고 평가했다.

 

이번 발견은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의 독립에 대한 열망과 민족의식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이 석각의 보존 및 추가 연구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