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가 말한 중부권의 미래, ‘동서철도는 중부권 변화의 열쇠’

330km 중부권 동서철도, 국가계획 반영 절박... 영주에서 전문가들 모여 열띤 토론 벌여

 

파이낸셜대구경북 김유신 기자 | 중부권 운명을 가를 동서횡단철도 논의가 영주에서 뜨겁게 달아올랐다.

 

영주시와 영주상공회의소는 26일 영주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필요성과 영주의 역할’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철도 분야 최고 전문가, 중부권 지자체 관계자, 산업계 관계자,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그 열기를 입증했다.

 

첫 번째 발표에서 오동익 박사(티랩교통정책연구소)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는 ‘내륙경제를 다시 작동시키는 국가적 장치’라고 강조했다.

 

또한 내륙지역 경제발전 전략 핵심은 접근성 확보와 가로축 철도망으로 내륙 지역 간 연결성 강화의 2가지 관점에서 사업 추진 명분이 매우 확실하다고 정리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정혁상 교수는 철도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습·훈련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이를 감당할 전문 교육공간이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발표자료에서 제시한 교육 수요 분석을 근거로 ‘아시아 레일텍 트레이닝 센터’ 구축이 영주의 새로운 성장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좌장 최진석 철도경제연구소장의 진행으로 진행된 종합토론에서 전문가들은 “이 사업은 더 늦춰지면 ‘기회 상실’이 아니라 ‘지역 상실’이 된다고 한 목소리로 말하며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날 토론에 참석자들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의 시급성,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330km 구간의 국가 사업화 △중부권 13개 지자체의 공동 대응 구축 체계 구축 △ 향후 수소 물류 확대에 대비한 철도 기반 물류체계의 필수성을 강조했다.

 

정병대 영주상공회의소 회장은 “철도는 중소기업의 물류비를 낮추고 시장을 넓히는 가장 확실한 수단”이라며, “기업·산업계는 철도의 변화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유정근 영주시장 권한대행은 “동서축 철도가 늦어지면 중부권은 10년, 20년의 성장 기회를 통째로 잃는다”며, “오늘 도출된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강하게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영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