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해병대전우회 “해병대 준4군 체제·포항 1군단 창설 촉구”

  • 등록 2025.08.26 16:16:32
  • 조회수 117
크게보기

“국가 안보의 열쇠이자 지역 도약의 기회…정부·국회 즉각 나서라”

포항시 해병대전우회가 해병대 준(準)4군 체제 전환과 해병대 1군단 창설을 공식 요구하고 나섰다. 급변하는 안보 환경과 북한의 핵 위협, 전시작전권 이양 준비 과정에서 해병대의 독립성과 전략적 기동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사)포항시 해병대전우회는 26일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한 군 구조 개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포항 해병대 1사단을 확대·개편해 해병대 1군단을 창설하고, 해병대 준4군 체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명서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병력 최대 10만 명이 순환 참전해 실전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는 보도를 언급하며 “북한의 군사력 고도화는 한반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자주국방과 전작권 이양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해병대가 독립적인 전략 기동군으로 재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항시 해병대전우회는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된 국방부 개편안에도 해병대 병력 증강과 전략 자원 보강이 포함돼 있다고 소개하며 “정부가 약속한 해병대 4성 장군 배출과 해병대 회관 건립은 첫걸음에 불과하다. 장기적으로 병력·장비 확대를 통해 준4군 체제를 완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포항은 해병대 1사단이 주둔한 도시로, 1군단 창설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오천읍·장기면 일대에 국방부 소유 부지가 충분히 확보돼 있어 군 인프라 확충이 가능하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포항시 해병대전우회에 따르면, 해병대 1군단이 창설될 경우 병력은 현재 약 2만8천 명에서 4만 명 수준으로 증강된다. 이에 따라 포항 지역에는 최소 1만 명 이상의 인구 유입 효과가 발생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나아가 국군사관학교 통합 개편 논의와 연계해 해병사관학교를 포항에 유치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포항을 ‘안보 교육·연구의 거점 도시’로 만들 수 있다는 구상이다.

 

또한 해병대 1군단 창설이 단순한 군 조직 개편이 아니라 방위산업 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철강·자동차·부품 산업, 포스텍 등 연구기관과 협력한다면 포항은 K-방산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다”며 “정부가 포항을 방산 특구로 지정하고 행정·재정 지원을 병행한다면 지역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포항시 해병대전우회는 이번 성명에서 안보의 절대성을 강조했다. 성명은 “국가 경제가 먹고사는 문제라면 안보는 죽고사는 문제”라며 “포항이 가진 철강 산업과 해병대라는 자산을 바탕으로 국가 안보를 지키고, 지역 발전의 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해병대 1군단 창설은 국가 안보의 열쇠이자 포항의 미래를 여는 문”이라며 “정부와 국회는 해병대 준4군 체제 전환의 현실적 방안으로 포항 해병대 1군단 창설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교광 기자 ks80001@hanmail.net
Copyright @파이낸셜대구경북 Corp. All rights reserved.